반응형 IT88 네이버 홈페이지 파피콘(아이콘) 적용방법 파비콘이란?웹 브라우저의 주소창에 표시되는 웹사이트를 대표하는 아이콘 그런데 이번에 사이트를 등록하고서 확인을 해보니,이 파비콘의 위치에 아무런 아이콘이 등록이 되어 있지 않았다.이렇게 지구본 표시만 뜨고 있다.이때, 이 파비콘을 대표 로고로 바꾸는 방법을 정리하겠습니다. 운영 중인, 파비콘을 적용하고자 하는 사이트를 열어줍니다.그리고 "head"영역에 아래와 같이 적용을 합니다. rel의 속성은 아래 중 하나를 사용하면 된다.* shortcut icon* icon* apple-touch-icon* apple-touch-icon-precomposed 그러고 나면 금방은 바로 적용이 되지 않고, 다시 사이트를 재 탐색이 된 후 적용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 : https://searc.. 2024. 11. 7. 윈도우 아이콘이 안 나올때 나오게 하는 방법 어느 날 갑자기 윈도를 켰을때, 바탕화면의 모든 아이콘이 사라지는 경우가 간혹 있다. 이렇게 모든 아이콘이 사라지게 되면 당황을 하게 되는데,생각보다 이유는 간단하고 복구 방법도 간단하다. 바탕화면에서 "마우스 오측버튼 > 보기 > 바탕화면 아이콘 표시(D)"를 확인합니다. 그럼 이렇게 표시가 있는데,"바탕 화면 아이콘 표시(D)" 옆에 체크표시가 없다면 해당 버튼을 눌러주세요. 그러면 간단하게 모든 아이콘이 복구가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4. 11. 6. [포토샵] 스탬프 오류 : could not use the clone stamp because the area to clone has not been defined could not use the clone stamp because the area to clone has not been defined스탬프를 복사를 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복사할 공간이 정의되어 있지 않습니다.(Alt-click to define a Source Point)알트키를 누르신 후 복사하고 싶은 부분을 정의해 주세요 스탬프툴은 Alt + 클릭으로 복제할 영역 선택 후 클릭하여 사용하는데, 영역 선택을 하지 않고 클릭하면 해당 에러가 납니다. 즉 Alt키가 포토샵에서 인식을 못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이런 에러가 나는 이유에 대해 정의를 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1. 정품이 아니다.2. 사전검색프로그램을 사용 중이라면 실행종료 시키기3. 단축키 변경하기 : Edit - Keyboard Sh.. 2024. 10. 26. JS 문자열 앞, 뒤 자리수 만큼 문자(0, 공백 등) 채우기 001, 002...처럼 웹에서 문자의 앞 또는 뒤에 0을 붙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이때, Js를 통해서 쉽게 공백을 채우는 함수를 알려드리겠습니다. str.padStart() / str.padEnd()// 문자열 앞에 채우기str.padStart(문자열, 숫자)// 문자열 뒤에 채우기str.padEnd(문자열, 숫자) 문자열 : 채우고자하는 문자숫자 : 채우고자하는 문자열의 길이 예시"1".padStart("0", 5) > 결과값 : 00001 2024. 10. 25. javascript로 평수 계산하는 방법 단순한 일회성으로 평수 계산을 하는 경우,네이버에 "평수 계산기"라는 명을 쳐서 간단하게 사용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홈페이지를 제작하는 등의 따로 사용이 필요한 경우에는 스크립트로 제작을 해야 하는데, 이때, 제곱미터를 평으로, 평을 제곱미터로 변환하는 간단한 함수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평수를 계산을 하기 전에 평과 제곱미터 간의 관계를 이해해야 합니다. 1평 = 약 3.305785㎡이를 토대로 스크립트를 만들게 되면, 아래와 같은 스크립트를 만들수 있습니다. 제곱미터를 평으로 변환하는 함수// 제곱미터를 평으로 변환하는 함수function meterToPyeong(squareMeter) { return squareMeter / 3.305785;} 평을 제곱미터로 변환하는 함수// 평을 제곱미터로 .. 2024. 10. 14. CDN(Content Delivery Network)이란? 웹 개발을 하다 보면 자주 접하게 되는 용어 중 하나가 바로 CDN(Content Delivery Network)입니다. 웹사이트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CDN은 무엇인지, 그리고 왜 사용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CDN(Content Delivery Network) 전 세계에 분산된 서버 네트워크를 통해 웹 콘텐츠를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시스템입니다. 웹 페이지나 애플리케이션에서 자주 사용하는 이미지, JavaScript, CSS 파일과 같은 정적 콘텐츠는 물론이고, 동영상 스트리밍이나 파일 다운로드 같은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도 활용됩니다. 기본적으로 CDN은 사용자가 위치한 지역에서 가장 가까운 서버로 콘텐츠를 제공하여 전송 .. 2024. 10. 8. 이전 1 2 3 4 5 6 ··· 15 다음 반응형